보안2021. 4. 12. 10:53

한동안 업데이트 안되던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기술적 취약점 분석, 평가 방법 상세가이드가 업데이트 되었습닏.

 

KISA 홈페이지 자료실에서 다운로드 받을수 있습니다. 

아래 링크를 받으셔서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.

다운로드 : www.krcert.or.kr/filedownload.do?attach_file_seq=2715&attach_file_id=EpF2715.pdf

해당 게시판 링크 : www.krcert.or.kr/data/guideView.do?bulletin_writing_sequence=35988

 

'보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Samba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  (0) 2021.03.26
Posted by Rugal
보안2021. 3. 26. 14:56

□ 개요
 o Samba 소프트웨어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[1]
 o 낮은 버전 사용자는 임의코드 실행 및 서비스 거부 공격 등에 취약할 수 있으므로,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권고

□ 설명
 o Samba AD(Active Directory) DC(Domain Controller)에서 메모리의 경계값을 벗어난 쓰기로 인해 발생하는 메모리 충돌 취약점(CVE-2020-27840) [2]
 o Samba AD DC에서 메모리의 경계값을 벗어난 읽기로 인해 발생하는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21-20277) [3]

□ 영향받는 제품 및 해결 버전

제품 영향받는 버전 최신 버전
Samba AD DC 4.0.0 및 이후 버전 4.14.2
4.13.7
4.12.14

 ※ 해당 취약점에 영향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 중인 사용자는 업데이트 페이지를 참고하여 업데이트 수행 [1]
 
□ 기타 문의사항
 o 한국인터넷진흥원 사이버민원센터: 국번없이 118
 
[참고사이트]
[1] https://www.samba.org/samba/history/security.html
[2] https://www.samba.org/samba/security/CVE-2020-27840.html
[3] https://www.samba.org/samba/security/CVE-2021-20277.html


□ 작성 : 침해사고분석단 취약점분석팀

□ 출처 : KISA인터넷보호나라 www.krcert.or.kr/data/secNoticeView.do?bulletin_writing_sequence=35947

Posted by Rugal
카테고리 없음2021. 1. 4. 20:46

 U-05(상) 

2. 파일 및 디렉토리 관리 > 2.2 파일 및 디렉터리 소유자 설정

 점검내용

소유자 불분명한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점검

 점검목적

소유자 존재하지 않는 파일 및 디렉터리를 삭제 및 관리하여 임의의 사용자에 의한 불법적 행위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함

 보안위협

삭제된 소유의 UID와 동일한 사용자가 해당 파일, 디렉터리에 접근 가능하여 사용자 정보 등 중요 정보가 노출될 위험이 있음

 참조

※환경변수 : 프로세스가 컴퓨터에 동작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동적인 값들의 집합으로 Path 환경부는 실행파일을 찾는 경로에 대한 변수임 

 OS

CentoS 7 


<확인 방법>

1. 사용자 검색

# find / -nouser -print

2. 그룹 검색

# find / -nogroup -print 

3. 일괄 검색

 find / -nouser -o -nogroup -print


※/ root 밑의 경로로 nouser, nogroup 권한으로 된 파일을 검색함 


<조치>

1. 권한 변경

# chown <user_name> <file_name>

2. 삭제 

rm <file_name>


기본적으로 시스템상으로 소유자 불분명한 파일이나 폴더가 생성되지 않는다. 

실수로 인한 파일 및 폴더 생성 또는 인위적인 생성 뿐이다. 



Posted by Rugal
Server/서버보안2019. 5. 2. 22:53

mysql.proc 권한을 777에서 그이하로 낮출경우

외부 권한의 문제가 발생한다. 

 

Tomcat-Mysql 서버 구동후 외부 스크립트로 DB 수정쿼리 (EX: 인사동기화, 정보 수정) 의 명령을 할경우 

권한문제로 정상수행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한다. 

따라서 권한을 잘 확인하고 맞쳐줘야한다. 

Posted by Rugal